이전 Thread 포스팅 입니다. 참고하시려면 클릭해서 보시면 되겠습니다.

Thread 안전, Thread safety <= 클릭

JAVA Thread 암시적 잠금 종류 및 생산자와 소비자<=클릭


Intro

Multi Thread가 반응성있도록 동작하려면, 앱을 설계시, Thread 생성과 Task 실행을 염두해두어야 합니다. 

별로 추천하고싶지 않은 설계방법 2가지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Thread or Task(스레드 및 태스크) 설계 및 실행 전략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설명하는 Task과 Thread의 정확한 의미구분을 하고 먼저 넘어가겠습니다.

Task는 일의 단위입니다. 하나의 메서드일수도있고, 메서드 집합일수도있으며, 응용프로그램에서 의미있는 한가지의 일을 Task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Thread 는 Process를 점유할수있는 하나의 실행 흐름입니다.


보통 자바, 안드로이드에서는 Task와 Thread를 같은 의미인것처럼 사용하긴하지만, 정확히는 의미가 차이가 있습니다..


1) 모든 Task에 하나의 Thread 사용

모든 Task가 동일한 Thread에서 실행되는 경우입니다. 사용가능한 Process를 사용하지 않아, 반응성 없는 앱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Thread를 이용해서 Task를 적절히 분리하여 병행실행이 가능하기때문입니다.


2) 각각의 Task 당 하나의 Thread 사용

각각의 Task에 대해 시작, 종료되는 새로운 Thread에서 항상 Task를 실행하도록 작성을하면,

Task가 자주 생성되며 수명이 짧은 경우에는 Thread 생성 및 해체작업의 Overhead가 증가되게됩니다. 그러므로 성능 저하 이슈로 이어지게 됩니다.


.


순차실행

하나의 Task가 완료되면 다음 Task가 실행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Task의 실행 간격에 중첩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2가지의 강점을 가지게 됩니다.


1) Thread Safety가 지켜집니다.

2) Multi Thread 보다 적은 memory를 소비하는 하나의 Thread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리량이 적고, 순차적이기 때문에, 하나의 태스크가 실행되지않으면, 그이후 태스크 작업은 절대 일어나지 않습니다. 

시작지연이나, 전혀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동시 실행

Task는 병렬 및 Interleave(처리할 Data의 dependency 없애 동시에 실행하는 방법)로 실행됩니다. 더 나은 CPU 사용률을 가지기에

처리량이 뛰어나고, 반응성이 좋습니다.

하지만 Thread Safety문제로 인해서, 동기화를 구현해줘야 합니다.


그렇기때문에 효과적으로 Multi Thread를 설계하려면, 순차실행과 동시실행을 통해 실행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융통성있게 개발자가 구현해야할 몫입니다.



동시 실행 설계

동시 실행설계는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1) 자원 생성과 해체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항상 새로운 Thread를 만드는 것보다 재사용을 건장합니다.

2) 필요이상으로 Thread를 사용하지 말아야합니다. thread가 많을수록 더많은 memory와 process 시간이 소비되며, 개발자의 부담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마무리

안드로이드 앱은, single 및 multi process platform에서 성능 향상 및 반응성있도록, multiThread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Thread는 하나의 Process에서 실행을 공유하거나 multiprocess를 사요할 수 있을떄 진정한 동시성(concurrency)를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향상된 성능은 증가한 복잡성뿐만 아니라, Thread간 공유자원을 보호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해야하는 책임을 가지게 됩니다.


그만큼 멀티스레드의 장점도있지만 그만큼 개발자의 부담감으로 이어지겠습니다.


지난 블로그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검색에 등록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난 블로그 보기 <=클릭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 RSS를 제출하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먼저 RSS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위키피디아에서 RSS설명입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최근 나의 홈페이지에 업데이트 된 내역을 가지고있는 정보입니다.

과거에는, 직접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확인해야했지만, 이젠 이런 RSS가 있기때문에 그럴 수고가 없습니다.

그래서 구글봇, 네이버봇들도 이런 RSS를 통해서 자동으로 나의 블로그정보들을 수집하고, 색인에 추가해줄수있게 되는거죠.


그렇다면 RSS등록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들어가서, 자신의 블로그를 선택해서 아래와 같은메뉴로 진입합니다. 




그리고 요청 -> RSS 제출을 선택합니다. RSS 제출에선 자신의 블로그주소다음 /rss를 추가한후 확인을 누릅니다.

ex) http://fsd-jinss.tistory.com/rss


그러면 아래와 같이 등록된 RSS에 추가된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RSS등록 포스팅 마치도록하겠습니다.




'애드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검색에 등록 설정 방법  (0) 2017.07.29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 검색에 등록 설정 방법에 대해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는 NAVER로써, 80%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있습니다. 그래서 티스토리로는, 사람들이 들어오는 트래픽이 그렇게 많지않을수있습니다.


그러므로 NAVER 검색엔진에 저희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색인에 추가되게한다면, 엄청난 강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만, 네이버 블로그와 우선순위에서는 밀릴수 밖에없습니다. 아무래도 자사 블로그정보를 수집하기도 쉽고, 연동이되어있으니까... 그리고 NAVER인데 NAVER Blog를 밀어주는게 맞지않나 싶습니다.


아무튼 이런 불편한점을 가지고있어도,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티스토리를 하는 이유는 애드센스광고를 설치하려고 그러는것일 겁니다. 저또한, 애드센스 광고를 사용하고 있는 입장으로써, 네이버 검색에 등록을 하는 프로세스를 숙지하게 되었습니다.


아무튼, 등록 절차를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아래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http://webmastertool.naver.com



회원가입을 합니다.

사이트, 앱, 채널 이렇게 3개로 나뉘어져있는데, 저희는 사이트이기 때문에 사이트 탭에서, 하단 사이트 추가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사이트 정보입력이 나옵니다. 여기서 여러분의 주소를 입력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확인을 누릅니다.

또한, 이다음 단계에서 사이트 소유자를 확인해야하는 절차가있습니다. 저는 티스토리 HTML meta태그로 인증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meta 태그 인증을 선택하면, 어떤 html 코드를, head태그안에 붙여넣어라고합니다. 붙여넣고, 그이후에 확인을 누르면 소유자 확인이 되고 최종적으로 웹마스터에 등록이 됩니다.





그러면 사이트 탭에 여러분들의 블로그 주소가 나와있을 겁니다. 이걸 선택합니다.




왼쪽 탭에, 요청을 누릅니다. 그이후에 웹페이지 수집을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제가 올렸던 글들을 수집요청했던 이력들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저기 웹페이지 수집칸에서, 여러분들의 포스팅 주소를 작성합니다.

그리고 확인을 누릅니다. 그러면 처음에는 요청완료라고 되어있습니다. 그이후 1분이내 새로고침을 누르시면, 수집성공으로 바뀌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단 네이버 봇이 수집성공은 해도 그것이, 바로 네이버 검색 색인에 추가된다는 말은아닙니다. 빠르면 하루 늦으면 삼일 뒤에 등록됩니다. 티스토리 유저로서는 디스어드벤테이지 한 점이지 않나 싶습니다. 

.



그래도 일단 등록은 해야하기에 이렇게라도 요청하는 방법을 전달해드립니다.


또한, 아래와 같이, 현황 -> 수집현황을 누르시면, 오늘얼마나 수집되었는지 정보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황 - 색인 현황을 누르시면, 얼마나 색인추가가 되었는지 확인하실수있고, 노출가능한 문서수도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이만큼 네이버에서 검색했을때 나의 블로그 포스팅들이 뜨는구나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도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티스토리 =>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RSS등록하기 포스팅 보러가기!!!  <=클릭



+ Recent posts